-
공항에서 ‘기다림’이 비즈니스가 된 이유
예전에는 공항 라운지가 오직 ‘비즈니스석 이상 고객’만 누릴 수 있는 특권처럼 여겨졌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라운지 패스만 있으면 누구든 공항의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대.
그리고 이 '기다림의 시간'은 고소득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하나의 산업으로 커지고 있다.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공항 라운지 패스 사업’이다.
카드사, 여행 플랫폼, 멤버십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라운지 혜택을 붙이고,
심지어 독립형 라운지 패스 판매 서비스도 등장하고 있다.이처럼 공항에서의 ‘경험’을 파는 산업은
단순한 서비스가 아니라,
반복되는 프리미엄 소비 패턴을 공략한 고수익 투자처로 진화하고 있다.라운지 패스 사업의 수익 구조는 어떻게 될까?
공항 라운지 패스 사업은 일반적인 ‘서비스 판매’와는 조금 다르다.
이 구조는 플랫폼형 구독 비즈니스 + 파트너 수수료 모델 + 프리미엄 타깃 광고까지 결합된 형태다.✅ 주요 수익 모델 구성
1️⃣ 패스 직접 판매 수익
→ 이용권을 일일권, 월간권, 연간권 등으로 판매
→ 대표 서비스: Priority Pass, LoungeKey, DragonPass2️⃣ 카드사와의 제휴 수수료
→ 카드사와 제휴해 연간 수만 건 이상의 이용 보장
→ 카드사는 고객에게 혜택 제공, 라운지 사업자는 대량 계약 수익 확보3️⃣ B2B 파트너십
→ 여행사, 항공사, 호텔과 연계해 패키지 구성 + 수익 쉐어4️⃣ 공항 내 브랜드 광고 수익
→ 라운지를 활용한 고급 브랜드의 프로모션 장소 대여 및 광고 노출이런 구조 덕분에
고정 가입자 수 + 고급 소비 타깃 + 반복 사용 가능성이 높아
전통적인 여행 서비스 대비 매우 안정적인 수익 모델로 평가받는다.라운지 패스 산업, 실제로 돈이 될까?
전 세계적으로 라운지 산업은 연평균 8% 이상 성장 중이며,
특히 동남아, 중동, 유럽의 주요 공항을 중심으로 독립형 프리미엄 라운지 확대가 두드러지고 있다.📊 글로벌 주요 사례
- Priority Pass: 전 세계 1,300개 이상의 라운지 연결
→ 2023년 기준 연간 이용 건수 1억 건 이상, 안정적 수익 창출 중 - DragonPass: 중국계 라운지 플랫폼, 모바일 연동 + QR 기반 출입
→ 동남아 공항에서 폭발적 성장 중, 중국 고소득 여행자 타깃 - LoungeBuddy (아멕스 인수)
→ 앱 기반 예약 서비스 + 고급 라운지 체험 판매 → 핀테크 + 여행 융합 비즈니스
이런 기업들은
B2B 제휴 + 수익형 부동산 + 소비자 구독료까지 결합된 사업모델로
전통적인 ‘서비스 기업’이 아닌, 수익형 자산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개인이 투자할 수 있는 방법 3가지
그렇다면 일반 투자자가 공항 라운지 패스 산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
✅ 1. 관련 기업 주식 투자
– Priority Pass 운영사 = Collinson Group (비상장)
– 하지만 제휴사인 카드사, 여행 플랫폼, 공항 운영사에 투자 가능
– 예: 아메리칸익스프레스(AMEX), VISA, Trip.com, 공항 리츠(REITs) 등✅ 2. 프랜차이즈 또는 B2B 지분 참여
– 일부 라운지는 프랜차이즈 또는 투자자 지분 참여 모델로 운영
→ 예: 싱가포르, 방콕 등 관광지 공항에서 한국 투자자 지분 참여 사례 있음✅ 3. 고소득 소비자 타깃의 연계 사업 투자
– 프리미엄 여행 굿즈, 라운지 마케팅 대행, 공항 서비스 스타트업 등
→ 간접적으로 라운지 수요 증가에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틈새 분야이처럼 직접 운영을 하지 않아도,
관련 생태계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마무리 요약
공항은 더 이상 단순한 ‘이동의 장소’가 아니다.
‘경험을 소비하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그 중심에는 ‘공항 라운지’가 있고,
그 라운지를 연결하는 패스 사업은 지금 가장 조용한 프리미엄 구독 모델로 평가받는다.✔️ 고소득 반복 이용자 기반
✔️ B2B 중심의 안정 수익
✔️ 글로벌 확장 가능성
✔️ 직접 운영 없이도 참여 가능한 투자 구조앞으로의 여행은 단순한 이동이 아니라,
‘기다림’ 속에서 가치가 발생하는 시간이다.
그리고 그 가치를 누가 먼저 투자로 연결하느냐에 따라
미래의 수익 기회는 달라진다.'금융 및 투자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추얼 유튜버(VTuber) 제작사 투자, 팬덤 경제의 실체 (0) 2025.04.04 중고 선박 공동 투자, 해양 물류 자산으로 돈 버는 법 (0) 2025.04.03 BNPL(선구매 후지불) 시장에 투자하는 세 가지 방법 (0) 2025.04.02 탄소배출권 ETF 3종 비교 분석 – 친환경 투자, 어디에 담을까? (0) 2025.03.30 탄소배출권 거래가 돈이 된다? 친환경 크레딧 투자 전략 (0) 2025.03.30 도심형 스마트팜이 부동산 대체 자산이 되는 이유 (0) 2025.03.29 스마트팜 크라우드 펀딩 투자, 농업의 미래를 선점하라 (0) 2025.03.29 인디게임 크라우드 펀딩 투자로 수익 내는 현실적인 전략 (0) 2025.03.28 - Priority Pass: 전 세계 1,300개 이상의 라운지 연결